반응형

여성으로 살아간다는 것은 일평생 호르몬의 지배하에 살아간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청소년기를 지나 중년이 될 때까지 여성은 매달 생리를 하게 되니깐요.

 

특히 중요한 일정과 생리 기간이 겹쳐 난감하셨을 경험은 누구나 한두 번 정도는 있으셨을 텐데요. 그때마다 내 맘대로 생리 기간을 조절할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한 번쯤 생각하신 적이 있으시죠.

생리 늦추는 약

 

 

생각에서 멈추기 않고 실제로 생리 기간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지금부터 자세히 알려드리겠습니다.







사진을 누르시면 더 알아보실 수 있습니다.








피임약이란?

피임약은 임신을 방지하기 위해 여성이 복용하는 약물로, 난소와 자궁 등의 생식기관에서 분비되는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이라는 호르몬을 인위적으로 변화를 주어 생식 기관의 기능을 억제하거나, 조절하여 임신을 하기 어려운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먹는 약입니다.

 

 

 

피임약 원리

피임약의 원리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첫 번째는 난소에서 난자의 생성을 억제하여 난자의 성숙과 배란을 하지 못하도록 하는 원리입니다. 난자는 생리를 시작하면 매달 1개씩 오른쪽, 왼쪽의 난소에서 번갈아 배란이 되는데 피임약은 난자의 성숙을 막아서 임신을 하지 못하게 해 줍니다.

 

두 번째 원리는 자궁 내막의 두께를 변화시켜 정자의 자궁으로의 이동을 어렵게 하여 난자와 만나지 못하게 하여 임신을 하지 못하도록 합니다.

 

 

 

피임약 복용법

피임약의 효과는 일정한 수준의 호르몬 수치를 유지할 때에 완벽한 피임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서는 정해진 일정한 시간에 약을 먹어야 하는데 예를 들어 오전 9시에 복용한다고 정하면 매일 같은 시간에 복용해야 호르몬이 일정하게 유지됩니다.

 

피임약은 28정, 21정이 있는데 복용을 시작하는 시기는 같습니다. 생리 시작일과 동시에 약을 복용하면 피임 효과를 가질 수 있습니다. 21정은 복용을 다 끝낸 이후에 7일은 쉬시면 되고, 28정은 계속 복용하시면 됩니다. 마지막 7정은 비활성 약물이기 때문에 휴약기로 볼 수 있는데 규칙적인 습관을 들이기 위해 복용하신다고 보면 됩니다.

 

 

 

 

 

 

 

생리 늦추는 약으로서의 피임약 복용법

특별한 시험, 시합,  활동, 경기, 휴가 그리고 결혼 같은 중요한 일들을 앞두고 생리 기간과 겹쳐서 걱정하신 경험은 여자라면 누구나 있으실 텐데요. 이 기간에 생리를 한다는 것은 단순한 불편함을 넘어 생리통 및 신체적 불편감이 나타날 수도 있기에 더욱 걱정이 됩니다.

여자 선수결혼

 

이런 경우 피임약으로 생리를 늦출 수 있다는 사실을 알고 계셨나요?

특정한 날짜에 생리를 늦추고 싶으시다면 생리 예정일을 기준으로 최소 10일에서 7일 전부터 피임약을 복용하기 시작하여, 생리를 미루고 싶은 날짜까지 정해진 시간에 매일 11정을 복용하시면 생리를 미룰 수 있습니다. 알고 보면 엄청 간단하죠? 이제 생리 기간 때문에 너무 고민만 하지 마시고 피임약으로 조절해 조시길 바랍니다.

 

 

피임약 효과 및 부작용

효과 임신방지, 생리통 감소, 불규칙한 생리 주기 개선, 피부 트러블 개선
부작용 가슴통증(유방통), 두통, 미식거림, 체증증가, 여드름, 발모

 

 

흡연자의 경우 드물지만 혈전이 생긴 사례가 있습니다. 혈전은 뇌와 심장의 혈류를 막히게 해 뇌경색, 심장 마비 등의 응급 상황을 발생시킬 수도 있기 때문에 흡연자의 경우 의사와 상의하신 후에 복용하시는 것이 안전하겠습니다.






 

.

반응형